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friends1/large/014.gif)
문1. 기관 내 연구활동종사자가 1천명 이상 3천명 미만인 경우 지정해야하는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의 수로 적합한 것은?
1) 2명 이상
2) 1명 이상
3) 3명 이상
4) 4명 이상
답: 1
해설
1. 1천명 미만: 1명 이상
2. 1천명 이상 3천명 미만: 2명 이상
3. 3천명 이상: 3명 이상
문2. 대학의 경우 연구비에서 확보해야하는 인건비 대비 안전관리비의 비율인 것은?
1) 1% 이상 2% 이하
2) 3%
3) 4%
4) 5%
답: 1
해설
1. (대학 또는 연구기관) 인건비 총액의 1% 이상 2% 이하
2. (기업(연) 또는 민법기관) 인건비 총액의 2% 이하
문3. 기관 내 연구활동종사자가 1천명 이상 3천명 미만인 경우 지정해야하는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의 수로 적합한 것은?
1) 2명 이상
2) 1명 이상
3) 3명 이상
4) 4명 이상
답: 1
해설
1. 1천명 미만: 1명 이상
2. 1천명 이상 3천명 미만: 2명 이상
3. 3천명 이상: 3명 이상
문4. 다음 중 연구실 사고 후속조치 과정으로 알맞은 것은?
1) 사고발생-피해 보상-상벌처리-재발방지대책 수립
2) 사고발생-상벌처리-피해보상-재발방지대책 수립
3) 사고발생-재발방지대책 수립-피해 보상-상벌처리
4) 사고발생-피해 보상-재발방지대책 수립-상벌처리
답: 3
해설
사고의 정확한 원인을 분석하여 사고보고서를 작성한 후 연구실안전 관리위원회를 개최하여 사고관련 재발방지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합니다. 그리고 인명 또는 재산피해가 발생했을 경우, 피해보상절차를 밟아야 하며 마지막으로 필요시 사고의 원인에 따라 인사위원회 및 상벌위원회를 개최하여 상벌처리를 합니다.
문5. 정밀안전진단 대상 연구실을 사용하는 연구활동종사자의 법정 정기교육 시간은?
1) 연 6시간 이상
2) 연 3시간 이상
3) 반기별 6시간 이상
4) 반기별 3시간 이상
답: 3
해설
1.진단 대상 연구실 사용자: 반기별 6시간 이상 2. 진단 미대상 연구실 사용자: 반기별 3시간 이상(삭제)
문6. 연구실안전관리위원회 위원으로 될 수 없는 사람은?
1)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
2) 연구실책임자
3) 정밀안전진단 업체 대표
4) 연구실 안전관리비 담당부서의장
답: 3
해설
연구실안전관리위원회 위원은 해당 기관에 소속된 연구실 안전과 관련된 사람으로 연구주체의 장이 지명하도록 되어있습니다.
문7. 다음중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의 직무가 아닌것은?
1) 연구실안전관리 계획수립 및 실적분석
2) 연구실 안전교육 실시 및 결과분석
3) 연구실 안전관리 담당자 지정 가능
4) 연구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실시 계획 수립
답: 3
해설
연구실 책임자의 역할
문8. 안전관리규정의 작성내용이 아닌 것은?
1) 주기적 안전교육 실시에 관한 사항
2) 연구실사고 발생 시 긴급대처방안
3) 연구실 유형별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
4) 연구 설비 구축에 관한 사항
답: 4
해설
1. 안전관리조직체계 및 그 직무에 관한 사항
2.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, 연구실책임자의 권한과 연구실안전담당자의 지정에 관한 사항
3. 주기적 안전교육의 실시에 관한 사항
4. 연구실 안전표식의 설치 또는 부착
5. 연구실사고 또는 중대 연구실사고 발생 시 긴급대처방안과 행동요령에 관한 사항
6. 사고조사 및 후속대책수립에 관한 사항
7. 연구실 안전관리비 계상 및 사용에 관한 사항
8. 연구실 유형별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
9. 그 밖의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
문9. 연구실안전관리 위원회 구성 시 연구활동종사자의 비율로 옳은것은?
1) 연구활동종사자가 포함되지 않아도 됨
2) 연구실활동종사자가 4분의 1 이상 포함
3) 연구실활동종사자가 3분의 1 이상 포함
4) 연구실활동종사자가 2분의 1 이상 포함
답: 4
해설
연구실활동종사자가 2분의 1 이상 포함되어야 함
문10. 유해인자 취급 연구활동종사자에 대한 특수건강검진의 실시 주기로 적합한 것은?
1) 1회/6개월
2) 1회/1년
3) 1회/2년
4)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12의3에 따라 실시
답: 4
해설
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12의3에 따라 유해인자별 실시
문11. 다음 중 정밀안전진단 대상 실험이 아닌 것은?
1)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른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연구실
2)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유해인자를 취급하는 연구실
3)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따른 독성가스를 취급하는 연구실
4)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는 연구실
답: 4
해설
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는 연구실은 정밀안전진단 대상 실험실이 아닙니다.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는 연구실은 정밀안전진단 대상 실험실이 아닙니다.
문12. 다음 중 정밀안전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1) 유해화학물질 취급 연구실은 정밀안전진단 대상 연구실이다.
2) 유해인자 취급 연구실은 정밀안전진단 대상 연구실이다.
3) 정밀안전진단은 2년마다 실시해야 한다.
4) 폭발사고, 화재사고 등 연구활동종사자의 안전에 치명적인 위험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을것으로 예상된는 경우 실시
답: 4
해설
4. 특별안전점검 실시 시기
문13.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란 연구실 안전과 관련한 기술적인 사항에 대하여 연구주체의 장을 보좌하고 연구실 안전관리담당자를 지도하는 자를 말한다.
답: O
해설
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제 2조(정의) 3의 2
문14. 연구활동종사자가 1쳔명 이상 3천명 미만인 경우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를 1명 이상 지정해야 한다.
답: X
해설
연구활동종사자가 1쳔명 이상 3천명 미만인 경우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를 2명 이상 지정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friends1/large/008.gif)
'필수교육 정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안전보건공단 '공공기관 사무직근로자 보건관리' 교육 답 (1) | 2021.10.01 |
---|---|
연구실안전교육 '안전관리실무 1, 2' 답 (0) | 2021.09.28 |
연구실안전교육 '기계' 답 (0) | 2021.09.16 |
연구실안전교육 '생물' 답 (0) | 2021.09.15 |
연구실안전교육 '소방' 답 (0) | 2021.09.1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