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SMALL

필수교육 정답23

연구실안전교육 '화학' 답 문1. 다음 유기화합물 중 말초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은? 1) 케톤류 2) 염화탄화수소 3) 클리콜 4) DMF 답: 1 해설 유기화합물에 따른 중추신경의 영향은 다음과 같다. - 말초신경 : 케톤류, 헥산류 - 간독성 : 염화탄화수소, DMF - 신독성 : 염화탄화수소, 글리콜 문2. 휘발성이 큰 에스터류와 케톤류에 가장 적합하고 가솔린, 할로젠화 탄화수소류에 취약한 내화학성 보호장갑의 재질은? 1) 부틸고무 2) 네오프렌 3) 라텍스 4) 나이트릴 답: 1 해설 부틸고무는 휘발성이 큰 에스터류와 케톤류에 가장 적합하고 가솔린, 할로젠화 탄화수소류에 취약한 특성이 있다. 문3.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설치·운영하는 자는 얼마의 주기로 자체점검을 실시해야 하는가? 1) 주1회.. 2021. 9. 7.
연구실안전교육 ' 책임자교육' 답 문1. 안전관리규정 작성 시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내용은? 1) 연구실안전표식의 설치 또는 부착 2) 주기적 안전교육의 실시에 관한 사항 3) 연구실 안전관리비 계상 및 사용에 관한 사항 4) 연구실안전환경조성에관한법률 전문 답: 4 해설 연구실안전환경조성에관한법률 전문을 안전관리규정에 포함시킬 필요는 없습니다. 문2. 연구실 정밀안전진단 실시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? 1) 정밀안전진단 대상 연구실은 1년마다 1회 이상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여야 한다. 2) 연구실안전법에 의한 인적 자격 및 물적 장비 요건을 갖출 경우 자체 진단도 가능하다. 3) 위탁 진단 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대행기관 등록된 업체에서 분야별 기술 인력과 진단 장비를 갖추어 실시한다. 4) 정밀안전진단 실시 결과 안전 등.. 2021. 9. 6.
연구실안전교육 '실습교육' 답 문1. 보호장갑 착용 시 주의사항으로 올바르지 않는 것은? 1) 손을 건조 시킨 후 착용하며, 사이즈는 자신에게 맞게 착용한다. 2) 장갑이 손상되지 않도록 장신구를 제거 한 후 착용한다. 3) 장갑이 없을 경우 맨손으로 사용하지 않고 폴리비닐 장갑을 활용한다. 4) 장갑을 사용한 채로 컴퓨터 업무를 하지 않는다. 답: 3 해설 가정에서 사용하는 폴리비닐 장갑은 케미칼에 대한 방어도가 전혀 없으므로 실험실 내에서는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. 문2. 보호장갑 착용 시 용도에 맞는 장갑을 잘못 연결 한 것은? 1) 산, 염기용액 및 유기용제 사용 시-화학물질용 장갑 2) 날카로운 물건을 다루는 경우-잘림 방지 장갑 3) 전기적 위험이 있는 실험을 하는 경우-절연 장갑 4) 차가운 물질을 다루는 경우-내연 장갑 .. 2021. 9. 3.
연구실안전교육 '실험전후 안전' 답 문1. 연구실 안전설비 중 대표적 환기설비인 흄후드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? 1) 콘센트, 스파크 등 발생 원천은 흄 후드 내 보관 금지 한다. 2) 샤시 최대 개방 시 최소 면속도:0.4m/sec이상 유지해야 한다. 3) 작업 필요 시 흄 후드 안으로 머리를 넣고 해도 무방하다. 4) 작업시 추가적인 개인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. 답: 3 해설 연구실 안전시설 중 대표적 환기설비인 흄후드는 배기플래넘, 방해판, 작업대, 에어포일, 후드몸체, 샤시로 구성되어 있다.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는 샤시 최대 개방 시 최소 면속도:0.4m/sec이상 유지해야 하고, 미사용시 샤시는 완전히 닫기, 콘센트, 스파크 등 발생 원천은 흄 후드 내 보관금지, 후드 내 스프레이 작업은 화재 및 폭발위험이 있으.. 2021. 9. 2.
LIST